통합검색
통합검색
정기간행물 [84] 건
목차
발행인의 편지공진원의 미래 상상도(想像圖)
에디토리얼끌어안기의 지혜
사색의 길목진짜 여름을 좋아한다는 것
돋보기믿음과 의심 사이, 도예가 김준명
금속공예가 고혜정이 그리는 우주
특집 한국 공예에 스며들다
특집 1 국제 공예상과 비엔날레 속 한국 공예
특집 2 세계 무대를 누비는 한국 공예류연희, 따뜻한 감동을 주는 금속
김준용, 감정을 깎아 만든 투명함
허상욱, 현대 분청의 변주와 실험
배세진, 흙에 새긴 시간의 흐름
정소윤, 실로 그리는 내면의 산수
정다혜, 직조로 쌓은 구조물
이정인, 재료에서 발견하는 해법
박영호, 기억의 흐름을 유리에 담다
Summary
The World Is Coming to Appreciate Korean Craft
작가 연구비워진 집, 채워진 빛: 김기라의 유리 조형과 존재의 감각
작가 인터뷰차승언, 참조하는 직조 회화의 가능 세계들
제도 비추기박물관과 미술관 문화상품의 성장
기획 연재한국 미학 탐구 V ― 삶을 비추는 민화의 세계
포커스전통 공예 기술에 과학을 더하다 ― 보물 자수가사 보존처리의 여정
공생공락, 함께 만드는 공예 축제
전시 읽기오늘, 분청 ― 지금, 여기: 분청을 읽는 방식
유리: 빛과 불의 연금술 ― 가야의 땅, 오늘의 유리 예술
초현실주의와 한국근대미술 ― 혼란의 시기를 견뎌 낸 환상의 이미지
우리들의 낙원 ― 기술과 욕망의 낙원, 그리고 위로
젊은 공예가 열전재료로써 감각을 포착하다: 김자영, 윤주연, 강인규
엮고 옮기고한 걸음 더, 필자와 함께 읽는 책
공예 소식크리스탈 가야, 2025 로에베 재단 공예상 외
KCDF 소식한지가헌 《기물의 지혜》전 외
2025-07-29
목차
발행인의 편지한지(韓紙)와 와시(和紙), 종이 문화의 미래
에디토리얼
미래를 향하는 지면
사색의 길목삼월에 내리는 눈
돋보기
비움과 짜임, 생명을 은유하는 장연순의 섬유예술
예측 불가능의 영역까지 내 것으로, 유리공예가 이태훈
특집 工藝紙上: 공예 매거진의 오늘
특집 1 세계 공예 매거진 1930년대~2025
民藝, Crafts, American Craft, Studio: Craft and Design in Canada,
Garland, The Vessel, Ateliers d’Art, Craftland, 월간도예,
우드플래닛, GARM, Metalsmith, Embroidery, Fiber Art Now,
American Woodturner, La Revue de la céramique et du verre,
Neue Keramik, Ceramics Art+Perception,
Ceramics New Zealand, Ceramic Review, Ceramics Monthly,Ceramics Now
특집 2 동시대 공예 비평과 공예지의 역할
잡지는 어디까지 담을 수 있는가
공예는 ‘비평’의 갑옷을 입고 있는가?
동시대적 의미를 드러내는 비평
교육의 동반자가 되는 공예지
공예 비평의 요소를 다시 생각하다
미완의 작업을 다루는 잡지
고민의 여정을 함께하는 방법
창작의 사고 과정을 엿보게 해 주는 글
Summary
The State of Craft Magazines: Documentation and Criticism
작가 연구김희찬, 탈영토하는 나무 잇기와 매듭 묶기의 구조
작가 인터뷰지금, 여기에 뿌리 내리기 ― 시각예술가 최성임
인물과 현장깊고 너른 수집의 길 ― 주재윤, 이소희, 김용재
기획 연재
한국 미학 탐구 IV ― 한복의 멋, 대비와 조화
포커스
푸른 세상을 빚다, 고려 상형청자 ― 형상에 상상을 더해 실용을 만들다
이강소: 풍래수면시 ― 이미지로부터 물러난 세계
전시 읽기탕카, 고산 지대의 불교 예술
신발, 차림의 완성 ― 시대를 걷는 신발
Cabinets of Curiosities ― 예술과 가구, 삶 속에서 만나다
젊은 공예가 열전공예로 피어나는 봄의 들판: 최나운, 최예진, 송예진
엮고 옮기고한 걸음 더, 필자와 함께 읽는 책
공예 소식덴버 박물관, 한국의 달항아리 전시 개최 외
KCDF 소식공진원 창립 25주년 아카이브전 《분명한 여정, 25년》 외
2025-04-28
목차
발행인의 편지
AI 시대, 공예의 존속적 가치
에디토리얼
얽힘의 기술
사색의 길목
쇠붙이의 증언
돋보기
관계가 녹아드는 시간, 정수경의 유리 캐스팅
차곡히 쌓인 시간의 층, 가죽공예가 김준수
특집
기술융합 시대의 창작
특집1 주제 비평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제작술과 공예
인공지능 시대의 제작 도구: 인공지능은 도구인가 예술가인가?
브리콜라주, 발견된 대상, 그리고 과정 중심적 공예
특집2 창작 사례
물질화된 가상: 포스트디지털 시대의 공예
그것은 과정에 있다: 공정 설계의 예술
작가와 창작의 주권을 나눠 갖는 기술
디지털 혁신과 공예의 만남: 창작과 교육의 미래를 열다
Summary ― Craft and Making in the Era of Technology Convergence
기획 연재
한국 공예 미학 탐구 III: 고려청자와 조선백자
제도 비추기
공예 종사자에게 힘이 되는 문화예술 분야 지원 제도 알아보기
작가연구
조성호의 기록: 금속에 옮긴 모두의 이야기
먹과 바느질로 그리는 여성의 서사: 한상아의 세계
인물탐구
문화를 번역하는 일 ― 박신희 미술사 전문 번역가
포커스
한국 현대 도자공예: 변화와 전통의 궤적
가장 뜨거운 공예문화 교류의 장, 2024 공예트렌드페어
한국 공예 미학과 예술성을 탐색하다, 공예대담
전시 읽기
손의 시간 ― 수선하는 예술과 실천적 삶의 방식
조응 ― 오브제가 잔칫상에서 벌이는 이야기 한판
젊은 공예가 열전
전통을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젊은 공예가들
KCDF 핵심 사업
공예의 접점을 다각화하다, 공예매개인력양성
엮고 옮기고
한 걸음 더, KCDF 자료실 사서는 무슨 책을 읽을까
공예 소식
100개의 브로치, 공예직감, 올해의 금속공예가상 외
KCDF 소식
올해의 공예상 수상자 선정 외
2025-01-06
목차
발행인의 편지
통섭의 시대, 한국성의 맥을 찾는 복합문화공간 문화역서울284
에디토리얼
지극한 돌봄
사색의 길목
응시와 접촉: 공예가 가르치는 사랑의 마음가짐
돋보기
실험은 계속된다, 금속공예가 김상훈
거친 파도에 우뚝 선 갯바위처럼, 목칠공예가 강석근
특집
순환과 생태의 재료, 미래를 짓다
특집1 주제 비평
물질이 사는 법: 친자연주의 제작과 물질 탐구
오늘날의 재료와 플라스틱성
특집2 창작 사례: 관계를 만드는 재료들
가노 유마·스튜디오 스와인·마쓰이 토시오·
정김도원·멜린다 영·엘리자베타 디 마지오· 편예린·
트레이시 나 코시 톰슨·이소요
특집3 실천의 현장: 미래를 짓다
CINARK 건축 자재 피라미드·Front®·Sugarcrete®·
랩크리트·이장섭·광주 순환폴리
기획 연재
한국 미학 탐구 II: 분청사기
제도 비추기
공예 종사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공예 분야 표준계약서 알아보기
작가연구
결을 읽고 단단함과 포근함을 조각하는 작가 박주형
직조의 미학: 이슬기와 조각적 실천
인물탐구
공들여 만드는 책의 의미, 이수정 열화당 편집자
포커스
세계 현대 도자 4선: 주목할 만한 작가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전시 읽기
향, 푸른 연기 피어오르니 ― 생활의 발명, 문화가 되다
공예로 짓는 집·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 다른 방식으로 살기
방, 스스로 그러한 ― 한국적 실내 공간을 탐구하는 시각
Plastic-Remaking Our World ― 지구라는 실험실에서 본 플라스틱
젊은 공예가 열전
2막 1장, 전업 공예가로 새롭게 시작하기 ― 소소영·김연진·정커브
KCDF 핵심 사업
KCDF갤러리 기획전의 진화
엮고 옮기고
한 걸음 더, KCDF 자료실 사서는 무슨 책을 읽을까
공예 소식
청주시한국공예관, 국립중앙박물관, 유리지공예상 기념전 외
KCDF 소식
프랑스 파리 메종·오브제 한지전, 한복문화주간 개최 외
2024-10-31
목차
발행인의 편지
공예의 영토성에 관한 담론의 파빌리온
에디토리얼
사색의 길목
일상다반사
돋보기
사람 그릇 짓는 이 ― 도예가 곽윤지
색과 바람을 엮어 만든 완벽한 세계 ― 최덕주
특집 좌담
공예문화 확장을 위한 플랫폼
(Abstracts) Craft Culture as a Platform
특집 칼럼
전승과 접목: 지금 우리 모습으로서의 전통
동시대 기술과 예술을 바로보기
우리는 이야기를 전하기 위해 산다
기획 연재
한국 미학 탐구 I: 금속공예
비평
공예를 규정하는 현대와 전통의 지각 변동
제도 비추기
가장 오래된 인간의 흔적을 연구하지만 가장 미래지향적인 곳, 전곡선사박물관
작가연구
이은범, 청자의 좌표를 연구하고 청자의 조형을 실험하다
김수자, 물질문화 속에 직조된 시간과 공간의 공명
인물탐구
축적의 힘을 동시대로 가져오는 일 ― 장인기 학예사
포커스
2024 공예주간 ― 공예의 본질과 일상화를 논한 자리, 크래프트&
2024 공예주간 ― 쓸모에 대한 질문
한국 근현대 자수를 둘러싼 다양하고 불확실한 지평
전시 읽기
장식 너머 발언 ― 한·오스트리아 현대 장신구가 지나온 전위와 개척의 역사
셰일라 힉스 ― 사이를 잇는 언어
이주 작가의 서사가 펼쳐진 길 위에 도자
길드는 서로들 ― 길들이고 길드는
진흙에 물들지 않는 연꽃처럼 ― 여성의 손과 마음, 복을 짓다
젊은 공예가 열전
재료로 실험하는 90년대생 공예가 ― 조아라·황다영·박진국·이종원
KCDF 핵심 사업
공예문화 일상화의 주역 공예주간, 지역을 품다
엮고 옮기고
한 걸음 더, KCDF 자료실 사서는 무슨 책을 읽을까
공예계 소식
서울공예박물관, 경기도자비엔날레, 갤러리 스클로 외
KCDF 소식
한지가헌 재개관, 우수공예품 지정제도 외
2024-08-02
목차
61권의 지도: 공예+디자인 찾아가기
특집
「공예+디자인」 아카이브 Ⅰ 1호-3호
「공예+디자인」 아카이브 Ⅱ 4호-6호
「공예+디자인」 아카이브 Ⅲ 7호-17호
「공예+디자인」 아카이브 Ⅳ 18호-29호
「공예+디자인」 아카이브 Ⅴ 30호-47호
「공예+디자인」 아카이브 Ⅵ 48호-61호
인터뷰
공예 전문지, 발신자의 역할을 생각한다
KCDF소식
2024-04-30
목차
관점
004 가이드
한층 한층, 시간을 엮어 | 말총 작가 정다혜
인터뷰
크리스티나 김이 늘 이기는 이유 | 재단법인 아름지기 책임 큐레이터 김소연
진단
자신만의 언어와 철학, 그리고 자신감으로 | KCDF 공예문화팀장 서윤경
새로운 시대, 새로운 작가들
자연과 시간, 그리고 호흡 | 도예가 사이토 유나
짚풀, 내겐 신성하고 거룩한 몸체 | 짚풀공예가 황정화
침선의 미를 알리는 현대적 언어, 바대 | 침선 작가 김영은
금속으로 표현한 삶, 그리고 예술적 탐구 | 금속 작가 이재익
대화
064 전방위 아티스트 이헌정
"앞으로도 과거의 성취를 갉아먹으며 살진 않을 것" | 정성갑
탐구
082 이슈
이슈 1 한국 현대공예, 쓰임 그 이상의 가치를 향하여 | 공예평론가, 미술학 박사, 크래프트믹스 대표 홍지수
이슈 2 지금 해외, 공예의 선구자들 | 문화예술 칼럼니스트 강보라
브랜드 스토리
일상을 더 아름답고 따뜻하게 | 문화예술 칼럼니스트 강보라
인터뷰
"이 세상 모든 프로젝트는 예술이나 공예다" | 브랜딩 전문가 노희영 대표의 조언
소식
110 해외통신
미국| 컨템퍼러리 캘리포니아 화조도 | 도예 아티스트 김명진
프랑스| 가장전통적이고 가장 세계적인 도자기 | 3세기를 지켜낸 모험적 브랜드 베르나르도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소식
영감을 위한 리소스북
목조건축의 상징이자 지붕의 얼굴 | 한눈에 보는 제와
2024-02-07
목차
관점
004 인트로
건축은 늘 공예의 집합체였다 | 건축가, 착착스튜디오 대표 김대균
들여다보기
모순의 시간이 만들어낸 기이한 아름다움 | 작가, 예술 칼럼니스트 최예선
에세이
한국 현대건축의 대표작이 된 두 건물 | 국립현대미술관 학예연구사 정다
공예와 건축
대체 불가한 건축, 대체 불가한 예술 | 전주 아원고택
한국에 없던 극강의 공방 | 레리치
100년 가옥, 오초량이라는 공공재 | 오초량
대사관에서 만나는 한옥과 공예 | 주한 스위스 대사관
대화
060 건축가 김원
한국의 공예와 건축에는 ‘여유’가 있어야 한다 | 디자인평론가 김신
탐구
078 이슈
복원의 세계 1 거대한 퍼즐의 화학이자 이야기 | 문화재보존복원가, 진주공예창작지원센터장 정수희
복원의 세계 2 르네상스의 영광, 모나코 대공궁 | 프랑스 통신원 양윤정
로컬 스토리
손으로 쌓은 경관이자 조형 | 문화예술 칼럼니스트 김명연
사찰건축
장엄으로 표현하는 곡진한 꾸밈 | 작가, 《절집 오르는 마음》 저자 최예
디자인
공예로서의 현대 의자 10 | 디자인평론가 김신
소식
120 해외통신
이탈리아 | 세상에서 가장 우아한 집 | 문화예술 칼럼니스트 강보라
로컬 소식
2023 진주전통공예비엔날레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소식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편안함과 우아함을 위한 신발 | 한눈에 보는 화혜靴鞋
2023-12-07
목차
관점
004 들어가며
시작하기 전에, 섬유 공부 | 서울공예박물관 학예연구사 이승해
진화하는 섬유
비닐 반전反轉, 없음에서 있음으로 | 섬유공예가 김태연
실로 그린 자연 | 텍스타일 작가 파이브콤마 정혜진
섬유로 빚은 공간과 건축 | 섬유공예가 정현지
나의 섬유 해방 일지 | 직조 작가 정은실
트렌드
2023 청주공예비엔날레에서 만나는 세계 속 섬유공예
대화
064 텍스타일 디자이너 장응복
26살 장응복이 62살 장응복이 되기까지 | 안상호
탐구
082 인터뷰
"현대공예 부흥 정책과 아카이빙에 힘쓸 것”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장동광 신임 원장
이슈
여성성을 위해 바느질하지 않는다 | 공예・디자인 이론가, 홍익대학교 예술학과 초빙교수 안영주
100년 후에도 유효할 윌리엄 모리스의 유산 | 프랑스 장식미술학자 이지은
아카데미
내가 스웨덴에서 배운 것들 | 텍스타일 작가 신서영
리포트
가리개, 신비와 환상을 만드는 문 | 디자인평론가 김신
소식
124 해외통신
프랑스 | 섬유로 만든 오트쿠튀르 조각 | 텍스타일 디자이너 그자비에 브리주 일본 | 일본에서 만나는 수고로운 아름다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소식
책
박영규 교수의 《조선 목가구 정석》 세트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금속 위에 내린 화사하고 단단한 유리질 | 한눈에 보는 칠보七寶
2023-10-11
목차
관점
004 시작하며
“대충 만들면 천년을 사기 치는 것” | 사진가 이동춘
한지의 확장
불로 태운 한지, 종이와 불의 파격적 협업 | 아티스트 김민정
패스트패션에 대한 반성 | 텍스타일 작가 이선
한지는 그 자체로 완성된 작품 | 설치 작가 고소미
책을 보수하는 데 한지만 한 재료는 없다 | 예술제본가 조효은
공간
한지에 관한 모든 것 | 서울 북촌 한지문화산업센터
대화
062 장지방張紙房 장성우
“쉬운 길을 찾는 습성이 몸에 배면 한지는 못 만든다”
탐구
078 이슈
벤치마킹이 아닌 퓨처마킹의 시대가 왔다 | 국민대학교 도자공예학과 교수 박중원
전통공예가 예술공예의 열쇠가 될 순 없을까? | 전남대학교 미술학과 공예전공 교수 김현주
실험
“한지는 매우 독특한 방식으로 물감을 흡수한다” | 프랑스 화가 클로드 비알라
디자인 리포트
한지, 모호함으로 거대해진 사용성 | 디자인평론가 김신
탐구
그 자체로 아름다움이 되는 예술 | 한지조형예술가 신진경
소식
118 해외통신
프랑스 | 오늘날까지 유효한 혁명 | 〈인쇄하다! 구텐베르크의 유럽〉 일본 | 디지털 기술을 만난 일본 공예 | 종이 작가 구니코 마에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소식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사철을 봄으로 사는 비단꽃 | 한눈에 보는 채화
2023-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