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CDF소식
- 작가/단체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등
- 기간
- 2023-10-20 ~ 2023-10-29
- 장소
- 기타 : F1963, 부산광역시 및 전국 공공디자인 거점 163곳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3》은 공공디자인의 필요성에 공감하며 더 포용적인 세상을 상상하는 모두의 축제이자,
풍성한 공공디자인 콘텐츠로 누구나 관심사에 따라 즐길 수 있는 대중 친화적인 행사입니다.
이번 페스티벌은 "모두를 위한 디자인"을 주제로
F1963(주제행사장)을 비롯해 부산광역시 및 전국 163곳의 공공디자인 거점에서 진행합니다.
오는 10월 20일 금요일부터 29일 일요일까지,
10일 간 진행되는 공공디자인 축제에 많은 관심 바랍니다!
□ 행사 개요
○ 행사명: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3《모두를 위한 디자인》
○ 기간: ‘23.10.20.(금)~10.29.(일), 10일간
○ 장소: 부산광역시 및 전국 공공디자인 거점 163곳 ※ 주제행사장: 부산 F1963
○ 주최주관: (주최)문화체육관광부, (주관)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축제 정보는 온라인플랫폼(publicdesign.kr/festival)에서 자세히 볼 수 있습니다.
□ 주요 프로그램
○ 주제전시 《모두를 위한 디자인: 우리가 꿈꾸는 보통의 일상》
- 기간/장소: 10.20.(금) - 29.(일), 부산 F1963 석천홀
- 내용: 6개의 일상 공간(집, 동네, 학교, 일터, 쇼핑, 대중교통)에서 공공디자인 사례를 경험하며 ‘모두를 위한 디자인’ 인식을 확장하는 관람객 친화형 전시
- 참여팀: 민·관 추진 국내·외 우수 공공디자인 사례 등 30여 팀
○ 공공디자인 거점
- 서울, 부산을 비롯 전국 공공디자인 거점 163곳에서 공공디자인과 모두를 위한 다양한 활동을 경험해 보세요!
○ 기획 프로그램
- 축제기간 중 공공디자인분야 행정가, 디자이너, 연구자는 물론 시민 모두가 참여하는 프로그램이 다채롭게 진행됩니다.
- 진행 프로그램 *전체 프로그램은 온라인플랫폼(publicdesign.kr/festival)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 부산 특구를 즐기는 즐기는 방법
- 축제기간 동안 부산특구 주요 지역을 오가는 <공공버스>를 운영합니다. (운영구간: 부산역 → F1963 → 아레아식스(영도) → 부산역)
※ 휠체어이용자, 유아차 동행자를 위한 버스가 함께 운영됩니다. (온라인 플랫폼에서 사전예약 후 이용 가능)
※ 운행시간은 기상 및 교통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플랫폼에서 확인해주세요!
- 부산역 대합실에 위치한 깜짝홍보부스에서 축제에 대해 소개합니다.
>>>>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3 온라인플랫폼 바로가기
[프로그램 살펴보기]
❸ 학술 행사
한국PR학회 특별 세미나
일시: 2023. 10. 20(금) 13:30–15:30
장소: 부산 F1963 화수목
주최: (사)한국PR학회
주관: 광운대학교 공공소통연구소,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참가 신청: 학회 홈페이지 참조(kaspr.net)
한국공공디자인학회 학술대회
일시: 2023. 10. 21(토) 13:30–16:30
장소: 문화역서울284 RTO
주최: (사)한국공공디자인학회
참가 신청: 학회 홈페이지 참조(publicdesign.or.kr)
2023 대한민국건축문화제 세미나
기간: 2023. 10. 25(수)–10. 29(일)
장소: 문화역서울284
주최: (사)한국건축가협회
참가 신청: 협회 홈페이지 참조(kia.or.kr)
청년 미래 디자인 포럼
일시: 2023.10. 26(목) 10:30–12:00
장소: 문화역서울284 RTO
주최/주관: 공공디자인 청년 거버넌스 준비위원회
2023 경관×공공디자인 집담회(AURI 경관 포럼)
일시: 2023.10. 26(목) 14:00–17:00
장소: 문화역서울284 RTO
주최: 건축공간연구원 AURI
주관: (사)더나은도시디자인포럼, (사)한국경관학회
참가 신청: 학회 홈페이지 참조(kolanco.or.kr)
2023 한국디자인학회·디자인융복합학회 가을 국제학술대회
일시: 2023. 10. 28(토) 09:30–18:30
장소: 홍익대학교 세종캠퍼스 세종관
주최: (사)한국디자인학회, (사)디자인융복합학회
주관: 2023 가을 국제학술대회 조직위원회, 홍익대학교
참가 신청: 10. 22(일)까지 온라인 사전 접수(design-science.or.kr)
❸ 부산 공공디자인 특구 프로그램
미디어 아트 〈모두를 위한 여정 Universal Journeys〉
기간: 2023. 10.18(수)–10.29(일)
장소: 부산유라시아플랫폼(부산역 광장)
작가: 황나키
내용: 부산 곳곳을 누비며 장애 없이 모두가 공존할 수 있는 조화롭고 유연한 환경을 탐색하는 여정
공공디자인 데이(W 데이)
일시: 2023.10. 25(수) 17:00–19:00
장소: 부산 워케이션거점센터
내용: 유니버설디자인의 미래 방향
사회: 전은경(디자인/브랜드 디렉터, 전 월간 〈디자인〉 편집장)
토론: 신윤예(공공공간 대표), 민영삼(더디엔에이 대표), 홍정훈(오알크루 디렉터)
대상: 50명(부산 워케이션거점센터 입주사, 공공디자인 분야 종사자 등)
참가 신청: 10. 24(화)까지 온라인 사전 접수(publicdesign.kr/festival)
어반 스케쳐스와 함께 그린 시민 작품 전시회
기간: 2023.11. 3(금) –11. 12(일)
장소: 부산시민공원 야외 공간
실천하는 생활 속 공공디자인 체험
부산을 기반으로 활동하는 지역 브랜드와 함께 제로 웨이스트, 친환경 소비 체험
- 장소: 아레아식스
- 프로그램
필름로그: 업사이클링 카메라 워크숍 / 10. 26(목) 19:00–20:30
ㅊㅂㅊㅂ: 업사이클링 클래스 / 10. 28(토) 11:00–12:00, 15:00–16:00
머거본: 아이스크림 증정 이벤트(다회용 용기 지참 시)
- 참가 신청: 아레아식스 인스타그램(@area6.yeongdo) 참조
모두를 위한 동래 힐링 ‘티크닉’
일시: 2023.10. 28(토) 17:00–18:30(1차), 19:30–21:00(2차)
장소: 동래부 동헌 야외 마당
내용: 특별한 장소에서 즐기는 티 피크닉
참가 신청: 10. 25(수)까지 온라인 사전 접수(publicdesign.kr/festival)
참가비: 1만 원
※ 1차 프로그램은 13세 이하 어린이만 참여할 수 있습니다. (동반 보호자 1인 포함)
모두를 위한 디제잉 DJing for All
일시: 2023.10. 28(토) 18:00–22:00
장소: 피아크
내용: 모든 장르를 넘나들며 모든 세대가 함께 즐기는 음악으로 구성한 바이닐 플레이리스트
참여 아티스트: 디제이 소울스케이프, 김프로(KIMPRO) 등
-----------------------------------
❸ 협력 프로그램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3 × 어반스케쳐스 서울
도시의 순간을 스케치에 담는 어반스케쳐스 서울과 함께 공공디자인 풍경을 그립니다.
(서울)
일시: 2023.10. 21(토) 10:30–16:20
집결: 서울 언더스탠드에비뉴 광장
스케치 장소: 서울 언더스탠드에비뉴 × 서울숲 일대
(부산)일시: 2023.10. 28(토) 10:30–16:20
집결: 부산시민공원
스케치 장소: 부산시민공원 일대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3 × 마르쉐
(부산)
농부시장 마르쉐@부산_모두의 바다
일시: 2023. 10. 21(토) 12:00–17:00
장소: 부산 F1963
2023 숲과나눔 × 농부시장 마르쉐@부산_모두의 바다
일시: 2023. 10. 22(일) 12:00–17:00
장소: 부산 F1963
(서울)
채소시장_지구농부시장
일시: 2023.10. 28(토) 12:00–17:00
장소: 서울 언더스탠드에비뉴 광장
모두가 환영받는 우리 동네: 어린이와 반려동물이 함께하는 연희동 나들이
일시: 2023.10. 20(금)–29(일), 참여처별 운영 시간 상이
장소: 연희동 골목 일대
참여처: 달걀책방, 유어마인드, 초콜릿책방, 그린디자인웍스 공장, 가고싶은 선리네, 글루글루, 글월,
니도 로스터리, 데 스툴, 돌파운드, 디파트먼트 이엔, 뚤리, 라아 서울, 로우키 연희점, 롯지190, 르솔레이,
미도파, 백색소음, 보틀라운지, 본지르르, 유피 스튜디오, 제니스까페, 카페 브라마솔레, HPO 코펜하겐 레서피, 멜로우 매거진
※ 페스티벌 기간 중 참여처에서 스탬프 이벤트를 진행합니다.
※ 참여처에 따라 운영 시간이 다릅니다. 자세한 내용은 온라인 플랫폼(www.publicdesign.kr/festival)을 참조해 주세요.
공공디자인 페스티벌 2023 × 온드림소사이어티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소셜 임팩트 플랫폼 ‘온드림소사이어티’와 함께 특별한 프로그램을 진행합니다.
온소(ONSO) × 김하늘
사용 후 버려진 마스크로 새로운 오브제를 만드는 김하늘 디자이너와 함께 버려지는 것 이후를 생각합니다.
기간: 10. 19(목)–12. 11(월) 9:00–18:00 *평일
장소: 온드림소사이어티 1층
참여 작가: 김하늘
히즈빈스 《공감의 순간, 공생의 오늘》
행복하게 일하는 문화를 만드는 카페 히즈빈스에서 장애인 전문가가 더불어 함께하는 문화를 소개합니다.
기간: 10. 20(금)–29(일)
프로그램: (전시/마켓)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한 커피 용품, (체험) 비건 음료 맛보기(일 400잔), 수화 배우기, SNS 챌린지 등
▪본 사업은 문화체육관광부 정부혁신 계획의 일환으로 추진하는 사업입니다.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가)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