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예+디자인 제51호
  • 게시일 2022-01-19
  • 미리보기
  • 다운로드

목차

 

관점

004 인터뷰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김태훈 원장 | 공공디자인, 모두를 위한 ‘보편적 복지’

        공공디자인을 만드는 사람들 11

        국립현대미술관 박혜성 학예연구사 | 덕수궁 뜰은 정원일까? 공원일까?

        코어건축 유종수·김빈 대표 | 가장 보통의 특수학교, 서울서진학교

        한국공공디자인학회 최성호 회장 | 공공디자인은 감성이 아닌 과학의 영역

        한국디자인단체총연합회 이길형 회장 | 카림 라시드도 참가한 ‘광주 북구 프로젝트’

        홍익대학교 이현성 교수 | 공공디자인, 실은 우리 모두에게 가까운 것

        홍익대학교 공공디자인연구센터 | 이론 정립과 학문적 접근도 필요하다

        건축사사무소 운생동 장윤규·신창훈 대표 | 모두가 누려야 할 건축 복지

        이음 파트너스 안장원 대표 | 문화 코드가 없으면 디자인이 건조해진다

        인테리어디자이너 임태희 | 보존할 부분을 찾는 것, 공공건축의 시작

        신한카드 & 플로스튜디오 | 오래된 새로움, 을지로를 살리자

        공공소통연구소 이종혁 소장 | “문제 해결의 절반은 소통에서 이뤄진다”
      

대화

066 정원 디자이너 피트 아우돌프

        내가 담고 싶은 것은 그저 계절의 순환

      

길잡이

078 유니버설 디자인

        지하철부터 올림픽까지 가장 공적인 언어, 픽토그램

        공공건축 프로젝트

        매해 여름 런던 공원에 들어서는 선물 같은 건축, 서펜타인 파빌리온

        리포트 I

        프랑스의 아름다움은 곧 공공디자인의 아름다움

        리포트 II

        대한민국 공공디자인 대상10

        공공디자인토론회

        1000년 계획을 세운다는 생각으로!

 

소식

116 해외통신

        영국 | ‘뉴욕의 에펠탑’부터 작은 섬까지

        프랑스 | 안개의 계곡에 핀 식물 공공디자인

        네덜란드 | 우리는 주차장에서도 걸을 권리가 있다

        스페인 | 버려진 등대가 열린 미술관이 될 때

        전시 리뷰

        선구적 공예, 불멸의 예술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소식

        새롭게 보이는 전시와 프로젝트

        우리공예·디자인리소스북

        한지, “이 종이를 받으면 최고로 반가워하는 기라”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가)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