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자료실
사업소개
기관소개
정보공개
「2022 공예매개인력양성」 교육생 모집요강
CRAFT ON LIVE! 필드워크
(재)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과 국민대학교가 함께하는 2022 공예매개인력양성 프로그램 <크래프트 온 라이브; 필드워크(CRAFT ON LIVE; FIELD WORK)>에서 새로운 공예시장을 이끌어갈 공예 크리에이터들을 모집합니다.
감각적인 시각으로 공예전시를 기획하고 싶은 분들, 새로운 공예상품의 제안과 함께 유통부터 판매까지의 흐름을 알고 싶은 분들, 공예를 콘텐츠로 다양한 클래스를 설계하고 싶은 분들, 모두 <크래프트 온 라이브; 필드워크>의 현장감 있는 실무 교육 현장으로 초대합니다.
대면활동의 재개로 더욱 활발해지고 있는 공예시장의 중심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전시, 유통, 교육 전문가들이 함께하오니 공예에 대한 관심과 열정을 실현시키고 싶은 분들의 많은 참여 부탁드립니다.
1. 신청 자격
• 공예, 미술, 문화 예술 관련 학부 수료자 이상이면 누구나!
• 2018, 2019, 2020, 2021 공예매개인력양성 교육에 참여한 경험이 없는 사람.
•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줌(ZOOM)을 활용한 실시간 화상강의 수강이 가능한 사람.
(접속 가능한 카메라와 마이크가 내장된 디지털기기 보유 필수)
구분 | 모집인원 | 자격 |
공예 큐레이터 | 20명 | 공예 전문 큐레이터/비평가로 전시기획을 위한 작가 서치와 개발, 작품 디스플레이, 전시 마케팅 등 공예 전문 기획자/비평가로서의 실무적인 전문 능력을 익히고자 하는 사람. |
공예 머천다이저 | 20명 | 머천다이저(MD)로서 공예상품개발 및 기획의 전문 능력을 강화하고자 하는 자. 혹은 공예작가로서 자신의 작품을 브랜딩하고 상품화하는 전문 기획에 관심 있는 사람. |
공예 에듀케이터 | 20명 | 공예 전문 에듀케이터로 기관, 단체, 기업을 위한 새로운 공예 예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장된 교육 및 세미나 현장에 진출하고자 하는 사람. |
2. 수강 특전
• 수강료 전액지원
• 국민대학교 관련학과 대학원 특강 및 연계 과정 청강 기회 제공
• 전문 교육자 및 현장 전문 강사들과의 네트워킹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장 명의의 수료증 발급 및 우수기획안 상장 수여(분야별 최우수 1명, 우수 2명)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연계 사업 참여 기회 우대
• 분야별 결과물 전시 지원
• 2022 공예매개인력양성 교육자료집 제공
3. 교육내용
구분 | 주제 | 세부내용 |
공예 큐레이터 | 공예 큐레이팅에 관한 직무별 특성을 이론 및 실무교육을 통해 파악하고, 창조적 사고와 전문적 접근을 하는 창의적 기획 능력 강화 | 공예 큐레이팅 이론: 동시대 공예의 현황과 이슈 및 공예기획 이론학습 심화 공예 큐레이팅 실무: 공예 큐레이터의 실질적 현장 업무 특성 파악 워크숍: 공예전시 개별 및 그룹 기획안 작성, 전시 공간, 조명, 그래픽 작업 등의 체험을 통한 실무능력 향상 결과전시: 기획안 평가를 통한 우수기획안 선정 및 그룹 기획안의 아카이브형 전시 구현 |
공예 머천다이저 | 공예 유통 및 상품기획 능력 향상을 통해 생산 영역과 소비 영역을 연결해 새로운 결과를 창출할 수 있는 전문적 역량 강화 | 공예 머천다이징 이론: 라이프스타일 트렌드 분석과 면밀한 시장조사를 통한 공예상품기획 이론학습 심화 공예 머천다이징 현장: UX(User Experience)적 접근을 통한 공예 상품기획 및 개발, 공예상품 유통채널과 마케팅 전략 워크숍: 공예상품 개별 기획안 작성을 통한 실무능력 향상 결과전시: 기획안 평가를 통한 우수기획안 선정 및 아카이브형 전시 구현 |
공예 에듀케이터 | 다양한 지식의 상호 이해와 실기적 융합을 통한 공예 교육프로그램 기획 및 실행, 그리고 융합 기획 능력 강화 | 공예 에듀케이팅 이론: 공예 교육 현장의 흐름 파악과 장르 및 매체별 융합 교육의 필요성 인식 공예 에듀케이팅 방법: 팬데믹 시대를 맞이해 공예 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의 변화를 이해하고, 디지털 매체를 활용한 융합 공예 교육프로그램의 체험 및 기획 워크숍: 교육안 개별 작성을 통한 융합 교육 기획 능력 향상 결과전시: 기획안 평가를 통한 우수 안 선정 및 아카이브형 전시 구현 |
교육명 | 모집분야 | 교육기간 | 교육시간 | 교육회수 | 교육장소 |
2022 공예매개인력양성 | 공예 큐레이터 | 2022.09.03.(토) ~ 2022.12.10.(토) | 매주 토요일 10:00~12:00 | 12강 | 서울특별시 성북구 정릉로 77 국민대학교, 대면 또는 실시간 화상강의 (ZOOM) |
공예 머천다이저 | |||||
공예 에듀케이터 | |||||
►코로나19 상황에 따라 비대면 화상강의로 진행될 수 있습니다. |
5. 모집 일정
구분 | 일정 | |
신청기간 | 2022.8.1.(월) 09:00 ~ 8.12.(금) 17:00 / 12일간 | |
신청방법 | 방법:
| 공진원 누리집(www.kcdf.kr)에서 신청서 다운로드하여 작성 후, 이메일 제출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 [사업공모] > [2022 공예매개인력양성 교육생 모집] |
접수처:
| craftonlive2022@gmail.com (메일 제목: [교육신청]OOOO분야_신청자이름) ※ 팩스 및 현장 접수 불가 | |
전형일정 및 방법 | 1차 (서류심사) | 전형일 : 2022.8.15.(월) ~ 16.(화) / 양일간 심사기준 : 교육생 적합성(40), 전문성(40), 발전가능성(20), 가점(10) - 선발인원 : 분야별 2배수 선발(분야별 40명) ※ 신청 기간 및 시간 내 접수된 수강 신청서를 기준으로 심사 예정 ※ 추후 관련 사실 확인을 위하여 증빙자료를 요청할 수 있습니다. |
2차 (면접심사) | 전형일 : 2022.8.20.(토) / 10:00~16:00(예정) 심사방법 : 비대면(ZOOM) 화상면접 심사기준 : 소통능력(25), 참여의지(25), 전공지식(25), 발전가능성(25) - 선발인원 : 총 60명(분야별 20명) | |
합격자 발표 | - 1차 합격자 발표 : 8월 3주, 개별 안내 예정 - 최종 합격자 발표 : 8월 4주,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 누리집 통해 공지 예정 ※ 면접 일정 및 시간은 추후 개별 안내 예정 | |
문의처 | 국민대학교 2022 공예매개인력양성 운영팀 담당자 - 이메일 : craftonlive2022@gmail.com - 전화 : 010-4885-4591 ※ 유선문의 시간 : 평일 10:00~17:00 |
6. 분야별 프로그램 세부 일정
- 공예 큐레이터 분야 -
회차 | 과정 | 날짜/시간 | 강사(소속) | 강의 내용 |
1 | 오리엔 테이션 <공통> | 9월 3일(토) 10:00~13:00 | 1부: 홍보라 (팩토리2 대표) 2부: 이대형 (H.ZONE 대표) | Craft on Live, 필드트립 -공예의 가치와 이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공예의 사회적 역할 |
2 | 실무형 강의 1부 <이론> | 9월 17일(토) 10:00~12:00 | 전주희 (2018 한국공예의 법고창신 전시감독) | 공예 전시 기획 이론 -공예 전시를 위한 기획자의 자세 |
3 | 필드트립 | 9월 24일(토) 10:00~12:00 | 전민경 (더 그레잇 컬렉션 대표) 송희정 (SPACE SO 대표) | 공예 큐레이터 필드트립 -장소: ‘더 그레잇 컬렉션’ / ‘SPACE SO’ -전시 관람 -큐레이터와의 대화 -전시에 대한 의견 교환 및 질의 응답 |
4 | 실무형 강의 2부 <공통> | 10월 1일(토) 10:00~12:00 | 캐슬린 킴 (뉴욕 예술법 변호사, ‘예술법’ 저자) | 공예분야 관련법 -예술저작권, 유통 시 발생하는 분쟁과 사례 -문화체육관광부 공예 분야 표준 계약서 |
5 | 실무형 강의 3부 <실습> | 10월 15일(토) 10:00~12:00 | 전민경 (더 그레잇 컬렉션 대표)
송희정 (SPACE SO 대표) | 전시기획서 작성 -전시 기획서 작성법 -전시 개념, 구성, 일정, 예산, 홍보방안 등 |
6 | 10월 22일(토) 10:00~12:00 | 작가 섭외 및 전시 출품작 선정 -작가 미팅, 스튜디오 방문 -작가 스터디 전시를 위한 협업 / 파트너들 -전시를 위해 필요한 협업자들 그리고 역할 -디자인, 공사, 운송, 보험 전시 준비를 위한 서류들 -계약서부터 반출증까지 | ||
7 | 10월 29일(토) 10:00~12:00 | 전시 디스플레이 -전시 공사 -작품 운송 (반입에서 반출까지) -작품 설치 | ||
8 | 11월 12일(토) 10:00~12:00 | 전시 관련 글쓰기 -전시 서문 또는 설명문(기획 글) -전시 안내서(작가 및 작품 설명) -보도자료 (1차 / 2차) -홍보 매체별 글쓰기 | ||
9 | 11월 19일(토) 10:00~12:00 | 전시 홍보 및 작품 판매, 전시 마케팅 -온라인 플랫폼 -SNS 활용 -전시 아카이빙 | ||
10 | 11월 26일(토) 10:00~12:00 | 전시 결과/ 정산 -전시 평가, 정산, 리뷰 -개별 기획서 최종 리뷰 | ||
11 | 12월 3일(토) 10:00~12:00 | 결과 발표 및 전시 | ||
12 | 시상/수료식 | 12월 10일(토) 10:00~13:00 | 1부: 로지 그리니스 (전 영국 공예청 대표) 2부: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 관장) | 공예의 미래 -미래는 공예다 -지속 가능한 미래와 공예 |
- 공예 머천다이저 분야 -
회차 | 과정 | 날짜/시간 | 강사(소속) | 강의 내용 |
1 | 오리엔 테이션 <공통> | 9월 3일(토) 10:00~13:00 | 1부: 홍보라 (팩토리2 대표) 2부: 이대형 (H.ZONE 대표) | Craft on Live, 필드트립 -공예의 가치와 이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공예의 사회적 역할 |
2 | 실무형 강의 1부 <이론> | 9월 17일(토) 10:00~12:00 | 김고은 (FINORK 대표) | 공예 머천다이저의 이해 -공예와 함께하는 삶의 매개자로서의 태도 |
3 | 필드트립 | 9월 24일(토) 10:00~12:00 | 구병준 (챕터 원 대표) | 공예 머천다이저 필드트립 -성공적인 문화상품 개발, 기획, 디자인, 유통 -장소: ‘챕터 원’ |
4 | 실무형 강의 2부 <공통> | 10월 1일(토) 10:00~12:00 | 캐슬린 킴 (뉴욕 예술법 변호사, ‘예술법’ 저자) | 공예분야 관련법 -예술저작권, 유통 시 발생하는 분쟁과 사례 -문화체육관광부 공예 분야 표준 계약서 |
5 | 실무형 강의 3부 <실습> | 10월 15일(토) 10:00~12:00 | 이승열 (국민대학교 금속공예학과 교수)
최윤정 (이랜드 이커머스 신사업 팀장) | 상품기획 -공예상품기획의 A-Z -린 캔버스 개요 |
6 | 10월 22일(토) 10:00~12:00 | 상품선정과 개발 -상품(사업) 선정 타당성/ 경쟁력/ 시장성 | ||
7 | 10월 29일(토) 10:00~12:00 | 타켓 고객과 시장 포지셔닝 -고객 선정, 니즈 검증 -시장 진입 전략 | ||
8 | 11월 12일(토) 10:00~12:00 | 상품(사업)BP와 우선 순위 전략 도출 -BP찾기, 적용점 도출 -전략 커스터마이징 | ||
9 | 11월 19일(토) 10:00~12:00 | 고객조사와 검증, 수익틀 -고객니즈 검증하기, MVP -상품(사업) 수익틀 | ||
10 | 11월 26일(토) 10:00~12:00 | 린 캔버스 완성 -상품(사업) 전략서 완성 | ||
11 | 12월 3일(토) 10:00~12:00 | 결과 발표 및 전시 | ||
12 | 시상/수료식 | 12월 10일(토) 10:00~13:00 | 1부: 로지 그리니스 (전 영국 공예청 대표) 2부: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 관장) | 공예의 미래 -미래는 공예다 -지속 가능한 미래와 공예 |
- 공예 에듀케이터 분야 -
회차 | 과정 | 날짜/시간 | 강사(소속) | 강의 내용 |
1 | 오리엔 테이션 <공통> | 9월 3일(토) 10:00~13:00 | 1부: 홍보라 (팩토리2 대표) 2부: 이대형 (H.ZONE 대표) | Craft on Live, 필드트립 -공예의 가치와 이해 -4차 산업혁명 시대 공예의 사회적 역할 |
2 | 실무형 강의 1부 <이론> | 9월 17일(토) 10:00~12:00 | 나유리 (계명대학교 미술대학 미술디자인학부 공예디자인전공 교수) | 지속 가능한 공예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기획 -국내외 공예 교육 사례 소개를 통해 지속 가능한 공예 교육에 관한 다양한 접근법 체험 |
3 | 필드트립 | 9월 24일(토) 10:00~12:00 | 심혜리 (서울여성공예센터 ‘더 아리움’ 공예참업팀 매니저) | 공예 에듀케이터 필드트립 -성공적인 공예 교육 현장 실습 -장소: 서울여성공예센터 ‘더 아리움’ |
4 | 실무형 강의 2부 <공통> | 10월 1일(토) 10:00~12:00 | 캐슬린 킴 (뉴욕 예술법 변호사, ‘예술법’ 저자) | 공예분야 관련법 -예술저작권, 유통 시 발생하는 분쟁과 사례 -문화체육관광부 공예 분야 표준 계약서 |
5 | 실무형 강의 3부 <실습> | 10월 15일(토) 10:00~12:00 | 강정현 (공예 교육 연구가, 건국대학교 강사)
김유라 (숭의여자대학교 주얼리디자인과 겸임교수, 문화예술교육사) | 공예 교육개론 -공예 교육 프로그램 기획의 A-Z |
6 | 10월 22일(토) 10:00~12:00 | 공예 교육 프로그램 1 -공예 교육 프로그램 교육대상과 환경에 따른 개별 기획 방법론 | ||
7 | 10월 29일(토) 10:00~12:00 | 공예 교육 프로그램 2 -공예 교육 수업모델 기획/개발 -교육대상, 교육장소, 교육기간 등 거시적 관점의 기획안 작성 | ||
8 | 11월 12일(토) 10:00~12:00 | 공예 교육 프로그램 3 -공예 교육 수업내용 구성 (학습과정안 작성 및 수정) | ||
9 | 11월 19일(토) 10:00~12:00 | 공예 교육 프로그램 4 -공예 교육 수업 매뉴얼 제작 (학습자료, 재료 및 도구 리스트, 홍보 등) | ||
10 | 11월 26일(토) 10:00~12:00 | 공예 교육 프로그램 5 -공예 교육 프로그램 기획안 제작 보완 | ||
11 | 12월 3일(토) 10:00~12:00 | 결과 발표 및 전시 | ||
12 | 시상/수료식 | 12월 10일(토) 10:00~13:00 | 1부: 로지 그리니스 (전 영국 공예청 대표) 2부: 김수정 (서울공예박물관 관장) | 공예의 미래 -미래는 공예다 -지속 가능한 미래와 공예 |
※ 상기 교육과정 및 일정은 진행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