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림소식
자료실
사업소개
기관소개
정보공개
○ 공예작가와 소비자의 접점 확대를 통한 공예문화산업 진흥 및 신규 수요 창출
○ 기업, 바이어 유치를 통한 유통 활성화 및 차세대 작가 발굴
국내·외 공예가, 갤러리, 관련 기관/협회, 기업 등
○ <2022 공예트렌드페어> 개최
- 주제관 : 공예트렌드페어 행사의 주제를 아우르는 기획 전시 공간
- 브랜드관 : 공예 브랜드, 기업, 공방들이 선보이는 공예품
- 아트&헤리티지관 : 국내외 공예 전문 갤러리, 기관 참여
- 창작공방관 : 신진 공예가의 참신하고 독창적인 작품(페어 참가 3회 미만 작가)
- 대학관 : 대학/대학원생의 창의적인 공예품
- KCDF사업관 :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KCDF)의 다양한 사업 결과물 소개
- 우수작가 선정/시상 : 우수 작가 및 우수 대학 작품상 선정·시상 등
○ <2022 공예트렌드페어> 개최
- 일정 : 2022년 12월 8일(목) ∼ 11일(일) / 4일간
- 장소 : 코엑스 C홀 전관(10,348㎡)
- 행사구성
· 전시 : 주제관, 브랜드관, 아트&헤리티지관, 창작공방관, 대학관, KCDF사업관
· 부대행사 : 개막식, 온·오프라인 이벤트 등
· 지원서비스 : 우수작가상 시상, 유통·마케팅 지원
2021년 |
ㅇ 주제 : 형형색색(形形色色) ㅇ 기간/장소 : 2021.11.18.-21.(코엑스 C홀) ㅇ 관람객수 : 54,768명 |
2020년 |
ㅇ 주제 : 휴가예감(休家藝咁),, ‘쉼’이 있는 집, 공예를 머금다 ㅇ 기간/장소 : 2020.12.3.-6.(코엑스 A홀) ㅇ 관람객수 : 33,002명 |
공예본부 공예산업팀 02-398-7941
○ 공예 네트워크 구축과 공예문화 확산을 위한 기반으로 매년 5월 셋째 주를 <공예주간>으로 지정
○ 공예 생태계 자생기반 및 전국 단위 공예문화 향유 기회 마련
○ 공예 소비 활성화 유도를 위한 공예문화 대국민 인식 제고
○ 공예문화 확산 및 공예소비 활성화 위한 전국 규모의 <2022 공예주간> 개최
- 전국 온·오프라인에서 공예 관련 전시, 마켓, 체험, 투어, 교육, 강연, 이벤트 등 공예문화 프로그램 동시 개최
- 전국 민관 협력 프로그램 공모 선정, 기관 및 기업 협업 프로그램
- 공식 홈페이지 및 온라인 전시관, 공예TV(유튜브) 등 온라인(비대면) 프로그램 운영
- 올해의 공예상 공모 추진, 다양한 기업 및 유관 기관 협력 부대행사
○ 2022 공예주간 개최
- 일정 : 2022.05.20.(금)~05.29(일), 10일간
- 장소 : 전국 및 공예주간 공식 홈페이지, 온라인 전시관
- 구성 : 전시, 마켓, 체험, 교육, 이벤트 등 종합 공예문화행사
2019년 |
ㅇ 전국 참여행사로 확대 및 개·폐막 헤드쿼터를 운영하여 행사 응집력 강화 ㅇ 참여처(359개처), 향유대중(341,538명) |
2020년 |
ㅇ 코로나19로 인한 온라인(비대면) 프로그램(온라인전시관, 공예TV, 라이브커미스 등) 운영 ㅇ 참여처(429개처), 향유대중(518,851명) |
2021년 |
ㅇ참여처 및 유관 기관·기업과의 협력 확장으로 공예주간 브랜드 인지도 강화 ㅇ 참여처(634개처), 향유대중(1,680,232명) |
공예본부 공예정책팀 02-398-7936, 7958
○ 공예기술 또는 소재산업이 집적된 곳을 선정하여 생산, 전시, 판매, 체험 기능을 갖춘 융합형 공간을 조성하고 시범운영을 통한 공예산업 지속 발전 지원체계 마련
○ 지역 공예 인적 네트워크를 구성하고, 공예품 제작 지원, 소비 촉진을 위한 전시·마케팅·유통 지원
○ 공예 창업자 지원을 위한 시설공간을 보유하고 있는 유관단체
○ 지역 특성에 적합한 공예창작지원센터의 공간 조성 및 운영 지원 (최대 3년)
○ 전문가단 구성을 통해 선정된 공예창작지원센터 특성 맞는 인력 및 추진체계 구축을 지원
- 공예창작지원센터 중장기 전략 수립 및 운영 프로그램 컨설팅 (1, 2년차 대상)
- 공예창작지원센터 특성에 적합한 전문가단 협의체 구성 (자문, 심의, 연속지원 평가 등)
○ 신규 대상지 공모/심사 : 1∼3월
○ 신규/지속지원 대상지 협약체결 : 3월
○ 지속지원 대상지 프로그램 운영 및 사업수행 : 3월∼12월
○ 신규조성 대상지 공간 조성 및 시설구축 : 4월∼12월
○ 신규/지속지원 대상지 사업수행 결과보고 및 지속지원평가 : 12월
2019년 |
ㅇ 공예창작지원센터 대상지 선정 및 공간구축 (1개소) |
2020년 |
ㅇ 공예창작지원센터 기존 대상지 지원 (1개소) ㅇ 신규대상지 선정 및 공간 조성 (2개소) ㅇ 공예창작지원센터 활용 공예품 창작지원 공모사업 |
2021년 |
ㅇ 공예창작지원센터 기존 대상지 지원 (3개소) ㅇ 신규대상지 선정 및 공간 조성 (2개소) ㅇ 공예창작지원센터 참여/등록 작가 공예품 디자인컨설팅 지원 ㅇ 공예창작지원센터 운영컨설팅 지원 |
◯ 공예본부 공예정책팀 ☎ 02) 398-7954
2019년 |
ㅇ 공예공방 62개소 참여 ㅇ 청년인턴 145명 참여 |
2020년 |
ㅇ 공예공방 74개소 참여 ㅇ 청년인턴 147명 참여 ㅇ 인턴십 참여자 대상 교육 및 컨설팅 운영 |
2021년 |
ㅇ 공예공방 66개소 참여 ㅇ 청년인턴 143명 참여 ㅇ 인턴십 참여자 대상 교육 및 컨설팅 운영 ㅇ 참여공방 홍보 지원 |
공예본부 공예정책팀 02-398-7951, 7959 / internship@kcdf.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