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기간행물
목차
목차
발행인의 편지
통섭의 시대, 한국성의 맥을 찾는 복합문화공간 문화역서울284
에디토리얼
지극한 돌봄
사색의 길목
응시와 접촉: 공예가 가르치는 사랑의 마음가짐
돋보기
실험은 계속된다, 금속공예가 김상훈
거친 파도에 우뚝 선 갯바위처럼, 목칠공예가 강석근
특집
순환과 생태의 재료, 미래를 짓다
특집1 주제 비평
물질이 사는 법: 친자연주의 제작과 물질 탐구
오늘날의 재료와 플라스틱성
특집2 창작 사례: 관계를 만드는 재료들
가노 유마·스튜디오 스와인·마쓰이 토시오·
정김도원·멜린다 영·엘리자베타 디 마지오· 편예린·
트레이시 나 코시 톰슨·이소요
특집3 실천의 현장: 미래를 짓다
CINARK 건축 자재 피라미드·Front®·Sugarcrete®·
랩크리트·이장섭·광주 순환폴리
기획 연재
한국 미학 탐구 II: 분청사기
제도 비추기
공예 종사자의 권익 보호를 위한 공예 분야 표준계약서 알아보기
작가연구
결을 읽고 단단함과 포근함을 조각하는 작가 박주형
직조의 미학: 이슬기와 조각적 실천
인물탐구
공들여 만드는 책의 의미, 이수정 열화당 편집자
포커스
세계 현대 도자 4선: 주목할 만한 작가
우리가 인디언으로 알던 사람들 ― 우리는 모두 연결되어 있다
전시 읽기
향, 푸른 연기 피어오르니 ― 생활의 발명, 문화가 되다
공예로 짓는 집·연결하는 집: 대안적 삶을 위한 건축 ― 다른 방식으로 살기
방, 스스로 그러한 ― 한국적 실내 공간을 탐구하는 시각
Plastic-Remaking Our World ― 지구라는 실험실에서 본 플라스틱
젊은 공예가 열전
2막 1장, 전업 공예가로 새롭게 시작하기 ― 소소영·김연진·정커브
KCDF 핵심 사업
KCDF갤러리 기획전의 진화
엮고 옮기고
한 걸음 더, KCDF 자료실 사서는 무슨 책을 읽을까
공예 소식
청주시한국공예관, 국립중앙박물관, 유리지공예상 기념전 외
KCDF 소식
프랑스 파리 메종·오브제 한지전, 한복문화주간 개최 외

한국공예디자인문화진흥원이(가) 창작한 저작물은 공공누리 "출처표시+상업적 이용금지+변경금지" 조건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이전글
- 공예문화 통권 제65호
- 다음글
- 공예문화 통권 제63호